즐겁게 웃는 모습을 보고 사자성어를 떠올리면 박장대소, 포복절도를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가가대소(呵呵大笑)라는 사자성어도 있다.
가가대소는 즐거운 감정을 느끼고 큰 소리로 웃는 모습을 의미하며 너무 우스워서 참을 수 없는 상황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볼 수 있다.
呵 : 꾸짖을 가
呵 : 꾸짖을 가
大 : 클 대
笑 : 웃음 소
꾸짖을 가(呵)는 헐뜯다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의아하게 생각할 수 있는데 적혀있는 뜻보다 웃는다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고 한다.
1. 유래
웃는 표현이라 그런지 정확한 유래는 남아있지 않지만 항연지라는 책을 보면 가가대소라는 말이 탄생한 유래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과거 賈大夫(가대부)라는 남자가 있었는데 그의 외모는 매우 못생겼기 때문에 아름다웠던 아내는 그를 싫어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가대부는 아내와 함께 사냥을 나가서 활로 꿩을 잡았고 그의 뛰어난 실력을 본 아내는 처음으로 미소를 지었다고 한다.
이를 보고 있던 사람들도 큰 소리로 웃었으며 이후에 웃음을 참기 어려워서 터져 나오는 상황을 가가대소라 말했다고 전해진다.
2. ㅋㅋ
현대에 들어서는 상대방을 비꼬는 의도로 ㅋㅋ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즐겁고 우스운 상황에서 사용하는 분들이 많다.
가가대소의 한자를 보면 呵呵가 들어가는데 ㅋㅋ와 형태가 비슷하기 때문에 이를 참고해서 신조어가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비밀 편지를 보면 내가 이 밤중에 이러고 있다며 우스운 상황을 가가(呵呵)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위에서 말하는 내용은 실제 있었지만 밈에 불가하며 크크, 키키, 켜켜, 쿄쿄, 쿠쿠, 큭큭, 케케, 쿡쿡, 킥킥 등 웃는 소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3. 예시
- 금메달을 목에 건 자녀를 보니 가가대소가 나온다.
- 그녀의 어설픈 연기를 보면 가가대소 할 노릇이다.
- 어설픈 보이스 피싱 전화로 가가대소할 것 같다.
- 계속해서 웃는 모습을 보니 가가대소한 모양이다.
- 망가진 모습을 보고 가가대소 하지 않을 수 없었다.
- 그는 가가대소 가소롭다는 표정으로 웃기 시작했다.
- 복권에 당첨돼서 가가대소 할 수밖에 없는 날이다.
나이가 들수록 인생을 살기 힘들다고 하는 분들이 많지만 사소한 일에도 즐거움을 느끼면서 가가대소 하는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