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를 다니면서 조별 과제를 받으면 잘 하는 사람끼리 모여서 좋아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제대로 협력을 하지 않아서 문제가 된다.
내 할 일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일을 싫어하는 경우가 많은데 뭉치면 불협화음이 생기기 때문이다.
各 : 각각 각
自 : 스스로 자
圖 : 그림 도
生 : 날 생
여럿이 하는 것보다 혼자를 선호하는 분들은 제각기 살아 날 방법을 꾀한다는 사자성어 각자도생이 잘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1. 유래
한자의 의미를 보면 중국이나 일본에서 이와 같은 표현을 사용한 고사성어가 있을 법 하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자료가 없다고 한다.
그나마 한국의 임진왜란 시기에 이와 비슷한 기록이 등장하는데 평양 싸움에서 승리한 왜적은 화풀이를 위해 백성을 죽이고 자리를 떠났다.
이에 부산, 김해, 웅천에도 그들이 습격하여 백성이 살육당할 수 있으니 각자 살길을 도모할 것을 몰래 전파하라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힘을 합쳐서 싸우면 좋겠지만 병력도 부족하고 상대가 안 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제각기 살길을 꾀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살아만 있다면 뭐든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말처럼 각자도생을 통해서 목숨을 건진 사람들이 있어야 적에게 반격도 가능한 일이다.
2. 책임 전가
각자도생이라는 말은 나라가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정치권에서 자주 등장하는데 대부분 상대에게 책임을 전가하기 위해 사용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행하던 시절을 예로 들면 마스크는 필수로 착용하고 통금 시간을 설정해서 일정 인원 모이지 못하게 통제를 했다.
이런 정책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지만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을 매출이 크게 감소하면서 반발을 하거나 폐업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결국 모두가 각자도생을 하면서 버티게 되었고 이후에는 다시 평상시 생활로 돌아가면서 필요한 사람들만 마스크를 끼고 생활하게 되었다.
나중에는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이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각자도생을 위해서 본인 스스로가 방역 규칙을 지켜야 했다.
이렇게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책임을 전가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각자도생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3. 예시
- 인생은 각자도생 경쟁을 하면서 산다.
- 각자도생에서 협력이 필요한 구간이다.
- 버티기 어려워 각자도생을 선택했다.
- 가끔은 각자도생이 리스크를 줄인다.
- 각자도생 살아남으면 아지트에서 보자
- 도와주고 싶지만 인생은 각자도생이다.
- 모두가 따로 각자도생하는 분위기다.
반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사자성어는 부러뜨리기 쉬운 화살도 여러 개가 모이면 꺾기 힘들다는 절전지훈(折箭之訓)이 있다.
세월호 사고 당시 객실에서 대기하라는 방송이 반복되었지만 각자도생을 생각했던 사람들은 탈출하기 위해 밖으로 나갔다.
아이러니하게 탈출을 시도했던 사람들은 대부분 목숨을 건질 수 있었지만 방송을 듣고 대기했던 사람들은 목숨을 잃게 되었다.
여기서 더 화가 나는 부분은 배 안에 있었던 사람들의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선장은 각자도생도 하지 못하게 혼자 탈출했다는 점이다.
이 사건 이후로 각자도생이라는 말은 더욱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지금 우리는 각자도생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