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시작할 당시 계속 마이너스가 났기 때문에 모아 놓은 돈을 까먹고 있었는데 6개월 이후 50만 원 정도 플러스가 난 적이 있었다.
한 달에 50만 원이면 식비에 쓰기도 빠듯한 수준이었지만 그나마 현상 유지를 할 수 있어서 좋아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感 : 느낄 감
之 : 갈 지
德 : 클 덕
之 : 갈 지
주변 사람들은 그렇게 벌어서 어떻게 하냐고 걱정했지만 매우 과분하고 고마운 감정을 의미하는 감지덕지라는 생각을 했다.
1. 유래
감지덕지는 누군가에게 고맙고 감사한 마음을 느끼면 사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로 출전을 찾아봐도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이전에 감개무량(感慨無量)이라는 사자성어에 대한 내용을 다뤘는데 일상에서 사용하기 부담스러운 표현이라 다른 한자가 필요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감사한 마음, 덕을 쌓는다는 말을 쓰면서 이후 두 단어를 합쳐 감지덕지라는 사자성어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과거 흉년이 들어서 먹을 게 없던 시절 구황작물을 먹었다고 하는데 그중에 감자는 서민들의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식품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굶지 않고 그나마 감자라도 먹을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면서 감지덕지라는 말이 유래되었다는 민간 설화도 존재한다.
사람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사자성어는 유래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그와 어울리는 단어가 합쳐져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2. 실제 활용
감지덕지 한자를 풀이하면 분에 넘치는 감사함을 의미하지만 우리는 일반적으로 그나마 괜찮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회사가 망해서 직장을 잃었지만 그나마 밀린 월급과 퇴직금은 받을 수 있으면 이것도 이것도 감지덕지라는 말을 할 수 있다.
신차를 타고 싶지만 돈이 없어서 중고차를 구입했다면 아쉬운 기분이 들지만 걸어 다니는 사람을 보면 그나마 감지덕지라는 기분이 든다.
이렇게 일상에서 감사한 마음은 있지만 꿩 대신 닭이라는 의미로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래 뜻과는 다르게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표현으로 베풀어준 은혜에 감사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감은대덕(感恩戴德)을 쓴다고 한다.
3. 예문
- 10분 잔업 시간도 챙겨줘서 감지덕지다.
- 김치만 있어도 감지덕지하면서 먹었다.
- 기회만 줘도 감지덕지라고 생각했다.
- 일을 못해서 최저 시급도 감지덕지다.
- 뜻밖의 환영에 감지덕지한 마음이다.
- 출연은 감지덕지하지만 자신은 없다.
- 그 실력에 무승부도 감지덕지한 결과다.
인생을 살다 보면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는데 나보다 힘든 사람들을 보면 지금도 감지덕지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좋지 않은 상황에서 그나마 괜찮다는 뜻이 아닌 많은 이득을 보고 감지덕지를 느끼는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