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주변에는 생각보다 가식적인 사람이 많기 때문에 누군가는 나를 속이기 위해서 거짓된 말과 행동을 보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남에게 속고 상처받는 일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서 나이가 들수록 나를 칭찬하고 가깝게 다가오는 사람을 경계하게 된다.
巧 : 교묘할 교
言 : 말씀 언
令 : 명령할 영
色 : 빛 색
교언영색은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교묘한 말과 얼굴을 하고 있는 사람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1. 유래
공자의 논어 학이편(學而篇), 양화편(陽貨篇)을 보면 화려한 말과 얼굴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 마음이 착하고 덕 있는 사람은 적다고 한다.
고언영색인 사람의 반대되는 말로 보이는 것에 신경 쓰지 않고 말수가 적은 사람을 뜻하는 강의목눌 근인(剛毅木訥 近仁)이 있다.
그들은 순박하고 아둔해 보이지만 강직한 마음과 굳센 의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를 잘 통제하고 주변을 잘 돌본다고 말한다.
오래된 고서를 보면 꾸며낸 언행을 하는 사람은 순수하지 않고 숨겨진 의도가 있기 때문에 착한 사람과는 거리가 멀다고 본다.
이는 현대에 들어서도 적용되는 말이기 때문에 나에게 환심을 사기 위해 접근하는 사람은 경계하고 되도록 멀리할 필요가 있다.
2. 배경
과거에는 왕이 나라를 다스렸는데 주변에서 권력을 잡기 위해 노력하던 신하들은 왕에게 아첨하고 눈과 귀를 가리는 경우가 많았다.
간신이 많을수록 나라는 태평성대와 거리가 멀어졌으며 실제로 나라와 백성을 생각하는 충신들은 설 곳이 없어졌다.
그래서 공자뿐만 아니라 정치를 하는 많은 사람들은 교언영색의 모습을 보이는 사람이 많을수록 미래에 대한 걱정이 많아졌다.
남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 본인을 꾸미는 사람이 많을수록 서로 신뢰하기 어렵고 부정적인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지만 본인의 이익을 위해 행동을 꾸며내는 사람이 있어서 문제가 된다.
공자는 인간의 도리를 지키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진실한 마음으로 행동하지 않는 사람을 경계했다.
3. 예문
- 권력자 주변에는 교언영색 하는 사람이 많다.
- 교언영색으로 사람들의 눈을 속이려고 했다.
- 선의가 아니라 교언영색의 마음으로 다가옴
- 사기꾼들의 특징은 교언영색 한다는 점이다.
- 선거에 참여한 사람들은 교언영색 투성이다.
- 교언영색은 사람을 진심으로 설득하지 못한다.
나를 속이기 위해서 접근하는 사람을 미리 알고 경계하면 좋겠지만 속내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서 문제가 되곤 합니다.
이들을 경계하는 것도 좋지만 내가 주변 사람들에게 그런 존재가 되지 않도록 진실 된 사람이 되기 위해서 노력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