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기준으로 인간은 개미보다 못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내가 존재하지 않으면 세상도 없기 때문에 우리의 삶은 의미가 있다.
과거 사람들은 인간의 목숨이 하찮다는 생각을 했는데 전쟁을 통해서 사람들이 목숨을 잃어도 바뀌지 않는 것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九 : 아홉 구
牛 : 소 우
一 : 하나 일
毛 : 털 모
구우일모는 소 아홉 마리 중에서 하나의 털이라는 뜻으로 사소하고 하찮다는 의미로 쓰지만 해석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1. 유래
중국 전한의 역사가 사마천은 역사책<사기>를 저술하여 지금도 큰 명성을 떨치고 있는 위인으로 구우일모에 관련된 일화가 존재한다.
중국 한나라의 7대 황제 한무제는 이릉을 북방으로 보내서 흉노를 공격하게 했으나 이릉은 전쟁에서 밀리자 흉노에게 항복했다.
이에 격분한 한무제는 이릉의 집안사람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하였는데 사마천은 이를 반대하다가 한무제의 처남을 비판하게 된다.
결국 한무제는 사마천에게 사형을 명했고 목숨을 건지기 위해서는 50만전을 내거나 궁형을 받는 방법밖에 없었다고 한다.
당시 하급 관리었던 사마천은 거세를 시켜 고자로 만드는 궁형을 선택했고 주변에서는 스스로 목숨을 끊어 절개를 지키라고 말했다.
하지만 사마천은 내가 사형을 당하거나 자결을 해도 아홉 마리의 소 중에서 털 하나가 빠지는 것이니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내가 죽으면 사람들은 나쁜 짓을 하다가 죗값을 치렀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사기>를 완성하기 전에는 죽을 수 없었던 것이다.
2. 궁형
궁형은 우리가 거세라고 말하는 형벌로 남자 죄인의 중요한 부분을 자르기 때문에 후유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궁형을 받은 죄인을 환관으로 일하게 했는데 환관은 노예라고 볼 수 있지만 임금이 시키는 일을 하기 때문에 대우가 달랐다.
실제로 학문이 높은 사람들이 환관으로 일했기 때문에 능력 있는 사람들도 많아서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막대한 권력을 누리게 되었다.
그래서 초기의 환관은 궁형을 받은 죄인으로 구성되었지만 나중에는 부귀영화를 위해서 스스로 거세를 하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죽음보다 치욕스러운 궁형을 받은 사람은 저마다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주변의 멸시를 참고 역사에 이름을 남기기도 했다.
중국 역사를 보면 황제를 조종하여 위에 군림하는 환관도 있었으니 궁형을 받은 사람들은 범상치 않은 인물이 많았다고 본다.
3. 예문
- 예고편은 구우일모에 불가할 정도로 최고였다.
- 나 하나쯤이야 하는 구우일모 생각을 버리자.
- 구우일모의 기회라고 할 정도로 놓치면 안 된다.
- 죄를 많이 지어서 절도는 구우일모에 불가하다.
- 소수의 사람 구우일모를 위한 광고가 잘 통했다.
- 작은 불씨는 구우일모라고 해도 조심해야 한다.
- 우리는 구우일모의 빌미도 제공해서는 안 된다.
로또 확률이 814만 분의 1일인 것처럼 구우일모는 쉽게 찾아오지 않은 천재일우의 기회를 의미할 때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소하고 하찮아서 의미가 없다는 뜻 보다 그만큼 희박한 기회를 잡아서 쓰는 분들이 많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