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소이(大同小異) 뜻과 유래 – 크게 보면 같고 작은 차이만 있다.

어린 시절에 누나와 간식을 나눌 때면 사이좋게 먹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서로의 것이 더 크다며 싸우는 일이 많았다.

성인이 되고 옛날 생각을 하면 웃음이 나오는데 지금도 가끔은 차이가 없는 수준이지만 비교를 하는 경우가 있다.

대동소이는 크게 본다면 같은 수준으로, 작은 차이만 있다는 뜻으로 성격이나 모습 등이 유사하거나 비슷한 것을 의미한다.

1. 유래

춘추시대 중국에 등장한 사상가를 제자백가라고 하는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공자, 맹자, 노자도 여기에 속해있다.

장자는 천하편(天下篇)에서 제자백가의 학파 중에서 묵가(墨家)와 법가(法家) 등이 주장하고 있는 철학에 대한 비판을 한다.

출전을 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은데 대동소이에 관련된 내용만 보면 세상의 만물은 크게 보면 똑같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하지만 가까이서 보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근본적으로 틀린 것들이 모이면 모두 연결된 것처럼 같아 보일지도 모른다.

만약 우주의 크기가 정해져 있다면 우주 밖에는 아무것도 없을 것이다, 반면 작은 물체는 속이 작아서 아무것도 들어가지 못한다.

이를 한자로 말하면 대일(大一), 소일(小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렇게 다른 것들도 기준에 따라서 크고 작음을 구분하기 어렵다.

2. 풀이

우리는 모든 것을 인간 기준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데 해충에 속하는 벼룩의 경우 종류에 따라서 2~4mm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수치로 보면 두 배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지만 인간의 눈으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는 작은 벌레일 뿐이다.

사람들은 모두 눈, 코, 입을 가지고 있지만 크기와 생김새에 따라서 얼굴이 달라지는데 잘생기고 못생겼다는 차이가 만들어지게 된다.

아무리 예쁘고 못생겼다고 해도 외형만 보면 인간이라는 것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큰 틀로 봤을 때는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세상에는 많은 국가들이 존재하고 외모, 피부, 언어, 성격, 문화 많은 것이 다르지만 지구에 살고 있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먼 우주에서 지구를 지켜본다면 그냥 하나의 행성일 뿐이다. 인간은 서로 다르지만 차이가 없는 존재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3. 예문

  • 국산이 좋다고 하지만 품질은 대동소이한 수준이다.
  • 합의서 내용을 보니 대동소이해서 잘 풀릴 것 같다.
  • 숙제를 검사하면 대동소이한 내용이 많아서 아쉽다.
  • 후보 공략이 대동소이해서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 제품 수준이 대동소이하니 가격 경쟁이 필요하다.
  • 작년에는 대동소이했지만 올해는 큰 차이가 있다.
  • 대동소이한 생각을 가지고 있어 행동이 중요하다.

대동소이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라는 뜻으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발전이 없다는 것을 말할지도 모릅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반도체 기술이 한국과 대동소이한 수준이라고 하면 우리 입장에서 부정적인 내용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국민 MC로 유명한 유재석을 기준으로 대동소이한 모습은 칭찬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준을 어디로 두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