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을 하면서 질문을 하면 엉뚱한 답변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눈치가 없는 경우도 있지만 회피를 위한 것일지도 모른다.
여기서 상대가 내 이야기를 못 알아듣는 경우는 이해할 수 있지만 대답을 회피하거나 무시를 하면 관계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다.
東 : 동쪽 동
問 : 물을 문
西 : 서쪽 서
答 : 답할 답
동문서답은 동쪽에서 대해서 물어봤더니 서쪽에 대한 답변을 한다는 뜻으로 물어본 것에 대해서 벗어난 답변을 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1. 유래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동문서답은 유래라고 할만한 기록이 없어서 출전이 없는, 한자로만 구성된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옛날부터 질문에 맞지 않는 답변을 하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이에 관련된 이야기가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토끼전(별주부전)을 보면 병에 걸린 용왕이 토끼의 간을 먹으면 낳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거북이를 시켜 토끼를 잡아오라고 말한다.
그리고 토끼를 잡는데 성공했는데 이렇게 허무하게 죽기 싫었던 토끼는 간을 집에다 놓고 왔으니 지금은 없다는 동문서답을 한다.
용왕은 당연히 그 말을 의심했지만 혹시라도 토끼를 죽여서 간이 없으면 난감한 상황이 되기 때문에 다시 토끼를 풀어주게 된다.
이렇게 동문서답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눈치가 없거나 머리가 나쁜 것은 아니다.
2. 활용
동문서답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이지만 정치권에서 많이 사용한다. 자신이 불리할 때 발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청문회를 보면 돈과 명예를 가진 사람들이 곤란한 질문에 모르쇠로 일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동문서답을 기본으로 장착한 것 같다.
이런 사람들이 불리한 질문에 입을 닫거나 딴소리를 하는 이유는 시간만 있으면 진실을 덮을만한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자신에게 상황을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논점을 흐리지만 티 나게 거짓말을 하면서 동문서답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우리는 동문서답을 하는 사람을 답답하게만 생각하지 말고 왜 그러는 것인지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상대가 지적인 능력이 떨어진다면 화내지 말고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일부러 그러는 경우 현명하게 판단해서 올바른 대처를 하자.
3. 예문
- 아이들은 말이 미숙해서 동문서답을 한다.
- 답변을 회피하면서 동문서답하지 마세요
- 계속 동문서답을 하며 말의 논점을 흐렸다.
- 동문서답으로 속마음을 숨기는 모습이다.
- 사람들 앞에 긴장해서 동문서답만 나왔다.
- 전문가라고 하더니 동문서답 수준이었다.
동문서답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상대가 하는 말에 집중하고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면 다시 되묻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기까지 동문서답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많은 분들이 동문서답을 하거나 듣지 않는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 갔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