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직장을 다니는 사람들도 부서의 차이가 있고 원하는 목표도 다르기 때문에 마찰이 생기고 다툼이 발생하는 일들이 많다.
음식을 먹을 때도 사람마다 취향이 다라서 똑같은 음식을 보더라도 누군가는 입맛을 다시지만 관심이 없는 사람도 있다.
同 : 한가지 동
床 : 평상 상
異 : 다를 이
夢 : 꿈 몽
동상이몽은 같은 침대에 누워 있어도 다른 꿈을 꾼다는 의미로 같은 상황에 처해 있지만 서로 다른 생각을 한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1. 유래
의미를 보면 재미있는 이야기가 출전으로 등장할 것 같지만 기대와 다르게 딱히 유래라고 할만한 이야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동상이몽은 중국 남송의 학자 진량(陳亮)이 했던 말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하는데 당시에는 전쟁이 많아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이해관계로 싸우지 않고 동맹을 맺는 경우가 많았으며 6개의 국가는 진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합종연횡을 하게 된다.
합종책은 외교적인 전략일 뿐 같은 편이라는 의미는 아니며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어서 진량은 동상이몽이라는 이야기를 남겼다.
진량은 유교 사상을 공부하면서 학문을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 발전을 위해 활용을 해야 한다고 경세치용 (經世致用)을 강조했다.
당시 학자들은 순수한 마음, 도덕적인 태도를 중요하게 생각했는데 진량은 결과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실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2. 연횡책
춘추 시대 흩어져 있던 나라들이 합쳐서 7개의 강대국을 구성하게 되었는데 그들 간의 패권 다툼으로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그중에서 진나라의 세력이 가장 강력했기 때문에 나머지 6개 나라들은 진나라에 대응하기 위해 연합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전국시대 제자백가였던 합종가와 연횡가들이 만든 합종연횡을 체결하게 되었지만 그렇게 견고한 모습은 아니었다.
이에 진나라의 종횡가 장의는 다른 나라들의 연합이 동상이몽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연횡책을 통해서 이간질을 시작한다.
진나라는 주변 국가들을 공격하지 않고 안전을 보장하겠다고 약속 했지만 기회가 생기자 다른 나라를 공격해서 병합하게 된다.
그리고 최초의 통일 왕조를 건설하였는데 6개 국가들이 동상이몽을 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3. 예문
- 겉으로는 다정해 보이지만 속은 동상이몽이다.
- 그들은 다른 이익을 추구하는 동상이몽 관계다.
- 함께 협력하지만 동상이몽 각자를 위한 것이다.
- 동상이몽의 이해관계가 맞아서 성사가 되었다.
- 같이 모여있지만 동상이몽의 입장을 갖고 있다.
- 처음은 동상이몽이었지만 지금은 한 마음이다.
- 탄핵을 앞에 두고 여야가 동상이몽에 빠져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마음은 같다고 하지만 아빠는 스포츠 선수로, 엄마는 의사로 키우고 싶다는 생각을 할지도 모릅니다.
인간은 이기적인 동물로 모두가 동등한 대가를 받지 않는 상황에서 동상이몽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