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혼자라는 말처럼 나이를 먹다 보면 주변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외로운 감정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어려운 상황을 혼자 이겨내는 것이 더 편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혼자 있으면 더 힘든 기분이 들어서 문제가 되기도 한다.
孤 : 외로울 고
軍 : 군사 군
奮 : 떨칠 분
鬪 : 싸울 투
고군분투는 따로 떨어진 채 많은 적군과 싸우는 병사를 의미하며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힘든 일을 해나간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1. 유래
고군분투는 수가 적고 도움을 받지 못하는 군대가 우세한 적과 용감하게 싸우는 모습을 뜻하기 때문에 관련 사례가 많은 편이다.
하지만 정확하게 출전으로 남아있는 이야기는 없는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례를 꼽자면 이순신 장군의 전투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은 1차 출전을 시작으로 왜군과 해전을 펼쳤으며 소수의 병력으로 총 30회가 넘는 전투를 벌이고 승리를 가져왔다.
큰 전투를 보면 23번 일본과 싸워서 모두 승리했으며 전사자 1명당 적군의 배를 4척 침몰시켰기 때문에 엄청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승리한 이유는 적을 알고 나를 알면 100전 100승이라는 말처럼 정보를 수집하고 정찰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숫자는 적지만 철저하게 훈련을 하고 엄격한 군율로 다스렸으며 솔선수범하는 모습으로 고군분투의 결과가 매우 좋았다고 본다.
2. 현실
현실에서 가장 고군분투가 어울리는 상황은 배우자 없이 혼자 돈을 벌고 아이를 키우는 한 부모 가정이라고 생각한다.
생활비를 마련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를 보살피고 교육을 하면서 미래를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쉴 틈 없이 바쁘게 살아간다.
이외 스포츠 경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축구는 11명이 하는 게임이지만 그중에서 일부가 고군분투해서 팀을 이끌기도 한다.
게임을 할 때도 팀원들의 실력이 부족해서 혼자 게임을 이끌고 가는 경우도 있으니 주변에 사람이 있어도 고군분투를 하게 된다.
고군분투하는 상황을 주변에서 인정해 주거나 좋은 결과를 맞이했을 때 보람도 커지기 때문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
다만 고군분투하는 상황은 대부분 부정적인 상황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생을 살면서 자주 경험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본다.
3. 예문
- 경기에서 패배했지만 고군분투했다.
- 내일 최후의 고군분투가 시작된다.
- 고군분투하는 사람을 위해 필요하다.
- 그의 고군분투를 보며 많이 배웠다.
- 네가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보기 싫어
- 환경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중이다.
- 무대 뒤에서 고군분투해 준 덕분이다.
- 고군분투로 좋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인생을 살면서 성공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은 좋지만 가끔은 실패를 인정하고 빠르게 포기하는 것이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힘들고 어려운 상황을 버티려는 분들은 나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어떤 선택이 현명한 방법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