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이야기를 할 때 사자성어를 쓰는 분들이 많은데 상황에 맞는 표현을 사용하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다만 듣는 사람에 따라서 오히려 부정적인 방향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잘 고려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公 : 공변될 공
私 : 사사로울 사
多 : 많을 다
忙 : 바쁠 망
공사다망은 한자의 뜻 그대로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이 많기 때문에 바쁜 상황을 의미하며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 쓰기도 한다.
1. 유래
공적인 자리에서 사회자가 자주 사용하는 말로 출전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유래에 대해서 확실한 기록은 없다고 본다.
그래서 격식을 갖춰야 하는 자리에서 바쁜 시간을 내어서 와준 사람들에게 감사한 의미로 공사다망을 썼다는 이야기를 한다.
과거 일본이 혼란스러웠던 센고쿠 시대 기록에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이를 유래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남아있는 문서가 없다.
전쟁을 하던 시기에는 적군을 막기 위한 공적인 일로 바쁘고 전쟁이 끝난 이후에는 먹고살기 위해 공사다망한 모습을 보였을 것이다.
현대에서도 자주 활용되는 단어인 만큼 출전이라고 할만한 이야기는 많기 때문에 내가 좋아하는 이야기를 참고해서 기억하자.
2. 반어법
위의 설명을 통해서 우리는 공사다망이 업무량이 많고 바쁜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생각할 수 있지만 반대 의미로도 사용한다.
대부분 정말 바쁜 사람을 보고 공사가 다망하다는 말을 예의상 하지만 한가하게 노는 사람을 비꼬기 위해 쓰는 경우도 있다.
이외 실수를 저질러서 문제를 만든 사람에게도 쓸데없이 공사다망하다고 하기 때문에 상대가 기분 나쁘게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본인의 잘못을 수습을 하기 위해서 정신없이 바쁘게 뛰어다니는 사람에게 공사다망이라는 표현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3. 예문
- 저 친구는 실적은 없지만 매번 공사다망하다.
- 공사다망하지만 실속이 없어서 문제가 된다.
- 늦잠을 자면 하루 종일 공사다망한 기분이다.
- 시험 기간이라 요즘은 매일 공사다망 상태다.
- 새로운 장비 때문에 공사다망 배우며 일한다.
- 혼자 일하고 애를 키우는 공사다망한 워킹맘
- 과거 공사다망하게 살았던 시절이 떠오른다.
- 일이 없는 것보다는 공사다망 바쁜 게 좋다.
누구나 공사다망하게 살고 싶지 않지만 직장을 다니다 보면 내가 받는 대가에 비해서 지나치게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공사다망하게 행동하지만 일머리가 없어서 결과가 좋지 않은 분들이 많은데 아무쪼록 모두가 힘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