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할 때, 말을 잘 하면 좋겠지만 내용이 자세하게 기억나지 않거나 설명을 잘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재미있게 말하는 능력은 연습도 중요하지만 타고나는 것 같다.
句 : 글귀 구
句 : 글귀 구
節 : 마디 절
節 : 마디 절
구구절절은 자신이 겪은 일이나 내용이 매우 상세하고 간곡하다는 뜻으로 옳고 바른 말을 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자주 쓴다.
1. 유래
한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는 중국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구구절절은 중국에서는 쓰이지 않는 표현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비슷한 표현으로 자자구구(字字句句)를 많이 쓰며 노래에 가끔 등장하기 때문에 관심 있는 분들은 많이 봤을지도 모른다.
구구절절의 출전은 1920년 조선일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中國의 抗議는句句節節이痛快함을讚揚하겟스니라는 대목이 나온다.
한글로 해석하면 중국의 항의는 구구절절 통쾌함을 찬양하겠다는 말로 다른 나라와 외교적인 문제로 다투면서 나온 이야기로 보인다.
당시에는 힘만 믿고 강제적으로 행동하거나 대화보다는 명령조로 하는 나라가 많았는데 중국이 구구절절 항의를 했던 것 같다.
힘이 없으면 말도 못 하던 시절이기 때문에 나와 비슷한 문제로 불만을 표현하는 나라에 힘을 보태주는 대목이라고 생각한다.
2. 논쟁
구구절절은 논쟁을 하면서 많이 사용할 수 있는데 논쟁이란 나의 주장과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다른 사람을 어떻게 이해시킬 수 있을까? 본인이 주장하는 내용을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하면서 설득을 할 필요가 있다.
설득을 위해서는 거짓말을 하면 안 되고 객관적으로 누구나 인정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구구절절 옳은 이야기만 해야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구구절절 이야기를 잘 하는 사람들은 타인을 잘 설득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본인의 주장에 문제가 있어도 막무가내로 우기고, 주관적인 생각을 모두의 의견처럼 말하는 사람이 있어서 문제가 된다.
아무런 의미가 없거나 재미없는 말을 길게 해도 구구절절 이야기만 늘어놓는다고 하기 때문에 나쁜 의미로 쓰기도 한다.
3. 예문
- 그는 열애설을 해명하기 위해 구구절절 말했다.
- 구구절절 옳은 이야기만 하기 때문에 좋아한다.
- 그녀는 구구절절 자신이 겪은 일을 털어놓았다.
- 지금 내가 구구절절 설명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 용서받을 수 없는 잘못에 구구절절 핑계만 한다.
- 도대체 왜 그 사람이 구구절절 대응해야 하는가?
- 계속해서 구구절절 해명을 하지만 믿기 어렵다.
개인적으로 구구절절 옳은 소리를 한다는 말이 생각났지만 뉴스를 보면 구구절절 핑계를 댄다는 표현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구구절절 옳은 말을 하는 것은 좋지만 잘못된 점을 가리고 싶어서 구구절절 핑계를 대는 분들이 없기를 바라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