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많고 능력 있는 사람 주변에는 많은 이들이 모이는데 끼리끼리 어울리기 때문에 비슷한 취향을 가진 경우가 많다.
그래서 좋은 사람이 모이면 더욱 선한 영향력을 펼칠 수 있지만 나쁜 사람이 모이면 다양한 범죄를 저지르거나 피해를 주기도 한다.
狗 : 개 구
猛 : 사나울 맹
酒 : 술 주
酸 : 초 산
구맹주산은 개가 사나우면 술이 쉬어 버린다는 뜻으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참된 신하가 모이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1. 유래
한비자가 왕이 신하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해서 저술한 <와저설우>를 보면 구맹주산의 유래라고 할 수 있는 이야기가 나온다.
송(宋) 나라에서 술을 판매하던 한 남자는 정직하게 술을 빚으며 친절하게 손님을 맞이했지만 이상하게 술이 잘 팔리지 않았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자 마을의 어르신 양천을 찾아간 장사꾼은 열심히 노력해도 술을 구입하는 사람이 없다며 이유를 모르겠다고 한다.
이에 양천은 자네가 키우는 개가 사나운지 물어봤고 어린아이들이 심부름을 가야 하는데 개가 사나우면 들어가지 못한다고 말했다.
한비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을 속이는 간신을 개로 비유하며 그들을 몰아내야 손님(능력 있는 신하, 인재)이 모인다고 말했다.
간신들은 국가보다 개인의 이익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그들이 높은 자리에 있으면 좋은 신하들을 다 몰아내기 때문이다.
2. 의미
위에서 술을 장사하는 사람(왕)이 키우는 개(간신)을 다른 곳으로 치우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문제가 없다면 굳이 치울 필요가 없다.
하지만 어느 정도 술이 팔리거나 물어보지 않았다면 장사꾼은 개(간신)가 문제라는 사실을 계속 모르고 손해가 누적되었을 것이다.
나라를 병들게 하는 간신들이 권력을 잡으면 어진 신하들이 멀어지기 때문에 그들을 내쫓고 충직한 사람을 등용하는 게 좋다.
개(간신)를 몰아내고 어진 신하(손님)가 많아질수록 가게(나라)는 부강해지니 태평성대를 이루고 백성들의 평온이 찾아오게 된다.
자원이 넘치는 나라도 환경이 좋지 않으면 망하는 것처럼 우리는 주변을 둘러보고 손해를 입히거나 위험 요소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기업에서 필요 없는 직원을 해고하고 필요한 사람을 뽑는 것처럼 개인이나 단체의 발전을 위해 사람을 가려야 할지도 모른다.
3. 예문
- 구맹주산의 모습을 보이면 성공하기 어렵다.
- 이번 정부는 구맹주산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 구맹주산으로 팀의 분위기가 나쁘게 흐른다.
- 일부 학교는 구맹주산으로 문제아만 모인다.
- 인재는 많았지만 구맹주산 때문에 다 떠났다.
- 나라가 구맹주산이니 간신만 있는 모습이다.
정치에 관련된 뉴스를 보면 나라를 올바르게 다스리기보다는 본인들의 이익만 생각하고 패악질을 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개인의 문제라고 할 수 있지만 그들을 대표하는 사람의 잘못이라고 할 수 있는데 술이 오래돼서 버리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