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상첨화(錦上添花) 뜻과 유래 – 비단 위에 꽃을 더하다.

우리는 가끔 생각지도 못했던 행운이 찾아와서 이득을 얻기도 하는데 기분이 좋아서 그런지 그 뒤에는 더 큰 행운이 오기도 한다.

하지만 불행이 찾아와도 나쁜 일이 겹치는 일들이 많기 때문에 우리는 최악의 상황을 생각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금상첨화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쇠 금(金)은 아니지만 사람들은 좋은 일에 황금이 더해진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하고 있다.

1. 유래

중국 북송에서 정치를 하던 왕안석은 말년에 한적한 시골로 내려와서 문필가로 활약했는데 즉사(卽事)라는 시를 지었다고 한다.

내용을 보면 嘉招欲覆盃中衍 麗唱仍添錦上花 (가초욕복배중록 여창행첨금상화) 구절이 나오는데 금상첨화의 유래라고 할 수 있다.

한글로 풀이하면 좋은 모임에서 사람들과 술잔을 기울이고 좋은 노래가 들리면 마치 비단 위에 꽃을 더하는 것과 같다는 내용이다.

실제로 현대 중국에서도 많이 쓰이는 사자성어로 좋은 일이 일어나는데 거기서 좋은 일이 더해지는 경우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왕안석은 정치를 하면서 많은 개혁을 하려고 했지만 기득권보다 백성이 이득을 보는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래서 힘든 정치 생활에서 물러난 다음 한적한 시골에서 기분 좋게 술을 마시는 생활이 매번 금상첨화 같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2. 반대말

금상첨화와 반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사자성어로 설상가상(雪上加霜)이 있는데 눈 위에 서리가 내리는 것처럼 나쁜 일이 겹친다는 뜻이다.

실제로 나쁜 일이 생기면 연이어 문제가 발생하는 일들이 많은데 이런 상황에서 금상첨화를 반어법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감기에 걸려서 집에서 쉬려고 했는데 그날 윗집에서 공사를 하는 것처럼 나쁜 일이 겹치면 금상첨화라며 한숨을 내쉴 수 있다.

일부 사람들은 심각한 상황을 강조하거나 비꼬기 위해서 금상첨화를 사용할 수 있으니 매번 좋은 일이 생겼을 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 일부 사람들은 비단 위에 꽃이라는 뜻은 화류계 여성을 비유하기 때문에 금상첨화, 금의환향을 쓰면 안 된다고 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그런 식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니 크게 걱정하지 말고 사용해도 되는 사자성어라고 생각한다.

3. 예문

  • 승진도 하고 보너스도 받으니 금상첨화다.
  • 타인에게 베풀면 금상첨화가 찾아오게 된다.
  • 선남선녀가 결혼하니 금상첨화가 따로 없다.
  • 마지막에 깨를 뿌려주면 금상첨화가 된다.
  • 좋은 곡까지 받게 되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 성격도 좋고 외모도 예쁘니 금상첨화구나
  • 친한 사람들과 즐기는 술자리는 금상첨화야

뷔페의 경우 많이 먹어도 추가 요금이 없기 때문에 음식의 퀄리티가 좋고 맛이 좋을수록 금상첨화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먹어서 체하면 건강도 해치고 병원비가 더 나올 수 있으니 지나친 것은 오히려 독이 된다는 점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