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식도(老馬識途) 뜻과 유래 – 노마지지(老馬之智)

글쓴이는 개인적으로 군 생활을 못했다고 생각하는데 계급보다는 나이가 많은 사람을 대우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나보다 부족해 보이면 나이가 많아도 무시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경험이 많으면 무언가 배울 점이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노마지지(老馬之智), 노마식도는 늙은 말이 길을 안다는 뜻으로 경험이 많으면 일에 능숙해서 사람을 이끌 능력이 존재한다.

1. 유래

춘추시대 최초의 패자 16대 군주 제환공은 포숙아를 스승으로 모셨는데 그에게 관중이라는 신하를 추천받아서 신임하게 된다.

고국죽 정벌을 실패한 제환공은 봄에 출정해서 겨울에 철군을 하려고 했지만 주변이 너무 변해서 어디로 가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한다.

적진이 가까운 곳에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방황하기 시작했고 관중이 앞으로 나와서 늙은 말의 경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나이가 많은 노마(老馬)를 여러 마리 앞세워 걷게 했고 늙은 말들은 자신들이 걸어왔던 길을 다시 되돌아가기 시작했다.

이렇게 관중은 자신의 재주로 하지 못했던 것을 노마식도, 늙은 말을 스승으로 삼아 배웠으며 이를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자신보다 어리석어 보이는 사람에게는 아무것도 배우려고 하지 않지만 나이가 많으면 배울 수 있는 삶의 지혜가 존재한다.

2. 배움

그렇다면 현실에서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어떤 것들을 배울 수 있을까? 경험은 글로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다.

개인적으로 대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참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상대의 성격을 떠나 배울 점이 많다.

활발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갈등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좋을지 조언을 구할 수 있다.

반대로 조용한 성격으로 대인 관계가 좋지 않은 사람에게도 그만의 장점이 존재하고 후회하는 것들에 대한 내용을 들을 수 있다.

오히려 부족해 보이는 사람에게 책에서 나오지 않는 것들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경험과 이야기는 나를 성숙하게 만들어준다.

고집이 강하고 편협한 시선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조언을 구할 수 있지만 배울 필요는 없으니 참고만 하도록 하자.

3. 예문

  • 과거에는 노마식도 노인분들에게 길을 물어봤다.
  • 사업을 위해 과거 사람들의 노마식도가 필요하다.
  • 노마식도라는 말처럼 할머니 요리가 제일 맛있다.
  • 나이가 사람들이 노마식도 후배를 이끌어야 한다.
  • 지금 우리는 노마식도보다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 노마식도는 백전노장에게 따라다니는 수식어다.
  • 경험이 필요한 현장에 노마식도는 매우 중요하다.

유의어로 노마지지(老馬之智)가 있는데 출전을 보면 노마식도의 유래와 같기 때문에 똑같은 사자성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변화도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니 경험이 풍부하고 현명한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