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난신고(艱難辛苦) – 몹시 어려운 상황이 맵고 쓰다

사람이 느끼는 감정을 맛으로 표현하면 어떨까? 행복한 기분을 느끼고 있는 분들은 달콤한 맛을 상상하게 될 것이다.

반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은 인생은 맵고 쓰다는 생각이 들 텐데 오래전부터 다양한 상황을 맛으로 비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하기 좋은 사자성어 간난신고는 몹시 어렵고 맵고 쓴 상황, 뜻을 풀이하면 매우 힘든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1. 유래

간난신고의 출전은 메이지 18년에 태어난 일본의 소설가 츠보우치 쇼요의 소설신수(小説神髄)애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해당 소설론을 통해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그대로의 심리를 분석했는데 권선징악을 부정하고 현실 주의를 외쳤다.

소설을 보면 おのれが経験なしたる艱難辛苦の事情はさらなり 본인의 경험이 없는 간난신고의 사정은 더욱 그렇다는 내용이 나온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님의 보호 아래에서 온실 속 화초처럼 자라지만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인생의 맵고 쓴맛을 느끼며 성장하게 된다.

2. 인생의 맛

사랑하는 가족, 친구, 주변 사람들과의 이별은 슬픔과 분노, 좌절감을 주기 때문에 인생의 쓰고 짠맛으로 비유할 수 있다.

건강의 문제, 신체적인 고통, 부상을 입는 것은 인생의 매운맛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나친 도전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인생의 맵고 쓴맛을 통해서 부정적인 경험을 하기도 하지만 발전의 계기가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나쁘게만 생각하기 어렵다.

어려운 상황은 우리를 더 성장시키고 어려움은 극복할수록 더 단단해지기 때문에 그전에는 몰랐던 것들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절망적인 상황은 우리를 포기하게 만들 수 있으니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분들은 너무 늦지 않도록 정신을 차리도록 하자.

3. 예시

  • 독립운동가 후손은 간난신고를 겪는다.
  • 갖은 간난신고를 겪었지만 성공했다.
  • 간난신고 끝에 그가 당선이 되었다.
  • 특히 어려웠던 간난신고가 끝나간다.
  • 극심한 간난신고를 감당하기 어렵다.
  • 간난신고 팀이 드디어 주인을 찾았다.
  • 노력을 했음에도 간난신고의 연속이다.

본인은 가난했지만 자식은 간난신고를 겪지 않게 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너무 악에 받히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글쓴이도 오랜 시간 해오던 사업 실패로 간난신고의 상황을 겪고 있는데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고 더욱 단단해졌으면 좋겠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