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강부회(牽強附會) – 뜻과 유래, 자기 합리화를 하는 사람들
친구들과 약속을 하면 매번 지각을 하는 녀석들이 있는데 말도 안 되는 이야기로 합리화를 시키며 넘어가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진실을 왜곡하거나 핑계를 대는 사람을 비유해서 만들어진 고사성어를 보면 과거 사람들도 비슷한 감정을 느꼈던 것 같다. 牽 : 끌 견強 : 굳셀 강附 : 붙을 부會 : 모을 회 역지로 끌어다 붙이고 맞춘다는 뜻의 견강부회는 말도 … 더 보기
친구들과 약속을 하면 매번 지각을 하는 녀석들이 있는데 말도 안 되는 이야기로 합리화를 시키며 넘어가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진실을 왜곡하거나 핑계를 대는 사람을 비유해서 만들어진 고사성어를 보면 과거 사람들도 비슷한 감정을 느꼈던 것 같다. 牽 : 끌 견強 : 굳셀 강附 : 붙을 부會 : 모을 회 역지로 끌어다 붙이고 맞춘다는 뜻의 견강부회는 말도 … 더 보기
많은 사람들이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열심히 노력만 하면 시간만 버리고 손해를 보기도 한다. 하지만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확실하게 방향을 잡고 노력을 해야 그에 맞는 대가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隔 : 사이뜰 격靴 : 가죽신 화搔 : 긁을 소癢 : 가려울 양 가죽 신발을 신고 가려운 곳을 긁는다는 뜻의 … 더 보기
영업을 잘 하는 사람들은 판매하는 상품의 소개를 잘 하기도 하지만 자신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대화를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 자존심을 이용해서 비싼 제품을 구입하게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자극을 주고 원하는 것을 취한다는 의미를 가진 다양한 사자성어가 존재한다. 激 : 격할 격將 : 장수 장之 : 갈 지計 : 셀 계 격장지계는 성격이 급한 장수를 자극해서 의도하는 방향으로 … 더 보기
최근 동창회가 있어서 어린 시절에 살았던 집 근처를 방문하게 되었는데 산업 단지가 들어서면서 많은 것이 변해 있었다. 추억이 떠오르는 건물도 있었지만 새로 보는 것들이 더 많았고 시골 풍경이 도시처럼 변해있어서 어색하고 복잡한 감정을 느꼈다. 隔 : 사이 뜰 격世 : 세상 세之 : 어조사 지感 : 느낄 감 격세지감은 많은 변화로 다른 세상처럼 느껴지는 감정을 … 더 보기
일본 하면 애니메이션이 떠오르는 것처럼 중국은 무협지가 유명한 편으로 실제 역사를 배경으로 가공한 작품이 많은 편이다. 무협지를 보면 전쟁을 하거나 결투를 하는 두 사람이 승부를 보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데 이를 뜻하는 사자성어가 등장하기도 한다. 乾 : 하늘 건坤 : 땅 곤一 : 한 일擲 : 던질 척 건곤일척은 태극기의 건곤감리와 헷갈리는 분들이 많은데 전혀 다른 … 더 보기
대학교를 졸업한 다음에도 한동안 친구들과 자주 만나서 놀지만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연락이 뜸해지고 얼굴을 보는 횟수가 줄어든다. 만나는 횟수가 줄어들기 시작하면 아무래도 신경을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나이가 들수록 외로워지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去 : 갈 거者 : 놈 자日 : 날 일疎 : 성길 소 거자일소는 죽은 사람에 대한 생각은 점점 잊혀진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 더 보기
고사성어를 보면 과거의 시대적 배경을 알 수 있다. 지금은 남녀가 평등하지만 오래전에는 남자를 더 높이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결혼을 하면 아내는 남편에게 공손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는데 지금은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기 때문에 어울리지 않는다. 擧 : 들 거案 : 책상 안齊 : 가지런할 제眉 : 눈썹 미 밥상을 눈썹에 맞추어 공손하게 들어서 남편 앞으로 … 더 보기
사업을 하면서 성공을 하는 것도 좋지만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방심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위기가 찾아와도 무너지지 않고 대처하는 것인데 평소에 준비를 하면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다. 居 : 살 거安 : 편안 안思 : 생각할 사危 : 위태할 위 거안사위는 편안한 상태에서도 위태로운 상황이 발생할 것을 … 더 보기
대화를 하다 보면 주제를 벗어나 쓸데없는 이야기를 길게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거냐고 닦달을 하게 된다. 반면 필요한 요점만 짧게 정리해서 말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런 능력은 타고나는 것도 있지만 연습을 통해서 기르는 것이 가능하다. 去 : 갈 거頭 : 머리 두截 : 끊을 절尾 : 꼬리 미 머리와 꼬리를 잘라버린다는 뜻의 거두절미는 … 더 보기
과거 사람들은 학문을 배우기 위한 마음가짐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초입 부분에 수양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다. 그래서 머리가 좋고 배운 것이 많은 것보다 사람이 됨됨이, 태도를 갖춰야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다. 居 : 살 거敬 : 공경 경窮 : 다할 궁理 : 다스릴 리 거경궁리는 수업을 하면서 많이 들을 수 있는 사자성어로 주자학의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