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개무량(感慨無量) – 느끼는 감정의 크기를 헤아릴 수 없다.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다양한 희로애락을 겪게 된다. 여기서 기쁨과 슬픔의 크기는 똑같지 않고 상황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고서를 보면 사람이 느끼는 감정에 대한 고사성어가 많이 기록되어 있는데 간단한 단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마음도 존재한다. 感 : 느낄 감慨 : 분개할 개無 : 없을 무量 : 헤아릴 량 감개무량은 마음에서 느껴지는 감동이 넘쳐 흐른다는 의미로 한자 없을 … 더 보기

구금(拘禁) 뜻 – 미결구금이란?

구금은 형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법적으로 죄를 지었다고 의심할 만한 사람을 가두는 행위로 구속영장을 발부하여 집행한다. 참고로 유죄가 확정되지 않아도 증거 정황이 확실하기 때문에 도주 우려가 있거나 2차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 강제로 구금이 가능하다. 여기서 미결구금은 범죄 혐의가 있어서 체포된 사람을 기소하고 재판이 확정될 때까지 구금하는 것으로 판결선고전구금이라고도 부른다. 목차 1. 선고 구금은 강제성을 띠면서 가두는 … 더 보기

갈택이어(竭澤而漁) –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다

군대에서 행군을 하다 보면 수통에 물을 채워야 하는데 무겁다고 채우지 않거나 빨리 마셔서 다른 사람의 것을 축내는 경우가 있다. 많은 분들이 내 행동이 가져올 결과를 생각해야 하지만 가끔은 이익에 눈이 멀거나 욕구를 이겨내지 못해서 후회하는 경우가 많다. 竭 : 다할 갈澤 : 못 택而 : 말 이을 이漁 : 고기 잡을 어 사자성어 갈택이어는 연못의 … 더 보기

갈이천정(渴而穿井) –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

게으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는 명언을 남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내가 하지 않으면 남이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 해야 할 일을 다음으로 미루다가 한 번에 몰아서 급하게 처리하지만 다 끝내지 못하거나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渴 : 목마를 갈而 : 말 이을 이穿 : 뚫을 천井 : 우물 정 목이 말라야 그제야 … 더 보기

간장막야(干將莫耶) – 합려의 부탁으로 만든 두 자루의 명검

과거에 명검이라고 불리던 무기는 대장간 기술이 발전하지 못한 시기에 장인이 만들어서 높은 내구성을 자랑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점점 기술이 발전하고 내구성이 높아지자 특수한 재료를 넣어서 만든 무기는 과거의 명검에 비해 이름을 날리지 못하게 되었다. 干 : 방패 간將 : 장수 장莫 : 없을 막耶 : 어조사 야 중국의 전설 속에 등장하는 한 쌍의 부부 검 간장·막야는 … 더 보기

금고형 뜻 – 징역과 차이점, 전과가 남을까?

형법 제68조에 따르면 수형자의 자유를 박탈하기 위해 교도소에 수용하지만 노역을 강제하지 않는 형벌을 금고형이라고 한다. 금고와 징역의 차이점은 정역부과 여부로 결정된다. 금고는 노동의 의무가 없기 때문에 강제로 해야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노역이 면제될 뿐이지 대부분 가만히 있기 지겹고 약간의 수당을 받아서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려고 노역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비교적 가벼운 범죄를 저지른 … 더 보기

肝膽楚越(간담초월) – 가까워 보이지만 먼 관계

학창 시절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 몰려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별로 친하지 않고 불편하지만 어쩔 수 없이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주변에서 보면 다들 사이가 좋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친구들 때문에 만나는 것이지 따로는 절대 안 보는 사이가 존재한다. 肝 : 간 간膽 : 쓸개 담楚 : 초나라 초越 : 넘을 월 이를 보고 간담초월이라고 할 수 있는데 … 더 보기

구류 뜻 – 구치소, 유치장에 가두는 형벌

잡을 구(拘), 머무를 류(留)를 사용하는 구류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벼운 위법행위, 경범죄로 잡혀온 사람을 가두는 형벌을 말한다. 구류 선고를 받으면 피의자는 구치소나 경찰서 유치장에 1일에서 최대 30일 미만까지 갇힌 상태로 지낼 수 있다. 참고로 벌금보다 낮은 형벌이기 때문에 구류를 당했다고 전과 기록이 남지 않으며 신원 조회를 해도 정보가 남아있지 않다. 목차 1. 선고 그렇다면 … 더 보기

간담상조(肝膽相照) 뜻 –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친구

나이가 들수록 친구가 많은 것보다 마음을 터놓고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 한두 명만 있어도 성공한 인생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관계는 무조건 오래되었다고 맺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속마음을 털어놓을 정도로 가깝고 성격이 맞아야 가능한 일이다. 肝 : 간 간膽 : 쓸개 담相 : 서로 상照 : 비출 조 간과 쓸개를 서로 비춘다는 뜻의 간담상조는 그만큼 … 더 보기

간난신고(艱難辛苦) – 몹시 어려운 상황이 맵고 쓰다

사람이 느끼는 감정을 맛으로 표현하면 어떨까? 행복한 기분을 느끼고 있는 분들은 달콤한 맛을 상상하게 될 것이다. 반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은 인생은 맵고 쓰다는 생각이 들 텐데 오래전부터 다양한 상황을 맛으로 비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艱 : 어려울 간難 : 어려울 난辛 : 매울 신苦 : 쓸 고 이런 상황에서 사용하기 좋은 사자성어 간난신고는 몹시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