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주구검(刻舟求劍) – 무식하고, 융통성 없는 사람 속 뜻은?
고집이 센 사람들은 자신이 올바른 생각과 선택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융통성이 부족해서 대화가 통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은 편이다. 주변에 이런 성격을 가진 사람을 보면 답답함을 느끼기도 하는데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기질은 바뀌지 않기 때문에 고치기 어렵다. 刻 : 새길 각舟 : 배 주求 : 구할 구 劍 : 칼 검 이를 보고 배에 흠집을 … 더 보기
고집이 센 사람들은 자신이 올바른 생각과 선택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융통성이 부족해서 대화가 통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은 편이다. 주변에 이런 성격을 가진 사람을 보면 답답함을 느끼기도 하는데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기질은 바뀌지 않기 때문에 고치기 어렵다. 刻 : 새길 각舟 : 배 주求 : 구할 구 劍 : 칼 검 이를 보고 배에 흠집을 … 더 보기
인생을 살다 보면 세상은 불공평하지만 그래도 모든 것을 잘하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에 신은 공평하다는 말을 하는 경우도 있다.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없다는 말처럼 가끔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 角 : 뿔 각者 : 사람 자無 : 없을 무齒 : 이 치 이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 … 더 보기
대학교를 다니면서 조별 과제를 받으면 잘 하는 사람끼리 모여서 좋아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제대로 협력을 하지 않아서 문제가 된다. 내 할 일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일을 싫어하는 경우가 많은데 뭉치면 불협화음이 생기기 때문이다. 各 : 각각 각自 : 스스로 자圖 : 그림 도生 : 날 생 여럿이 하는 것보다 혼자를 선호하는 … 더 보기
패션은 돌고 돈다는 말처럼 90년대 촌스럽게 보이던 옷이나 액세서리를 조금 다듬어서 최신 트렌드로 자리 잡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최신 트렌드라고 모두가 좋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본인의 취향을 우선시하는 사람들이 많고 개성을 자랑하기도 한다. 各 : 각각 각樣 : 모양 양各 : 각각 각色 : 빛 색 이를 보고 사자성어로 각양각색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러 가지 … 더 보기
글쓴이가 어려웠던 시절 친구에게 큰 도움을 받았는데 덕분에 지금은 여유롭게 생활하고 있지만 고마웠던 기억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당시에는 절대로 잊지 않을 것 같았던 감사한 마음은 이제 생각조차 나지 않으니 사람의 마음이 간사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刻 : 새길 각骨 : 뼈 골難 : 어려울 난忘 : 잊을 망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고마움을 느끼는 상황에서 각골난망이라는 … 더 보기
젊은 시절 고생은 사서 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부족한 것이 많기 때문에 부지런하게 노력하고 애를 써야 하는 쓰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자를 이기지 못한다고 하지만 현실은 반대의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자신이 하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刻 : 새길 각苦 : 쓸 고勉 : 힘쓸 면勵 : 힘쓸 려 이런 상황에서 쓸 … 더 보기
과거에 벌어진 전쟁을 보면 소수로 이루어진 정예 부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적은 숫자로 많은 적을 물리친 기록이 많다. 이들은 적의 정면이 아니라 보급로를 차단하거나 약한 부분을 공격했으며 필요한 상황에서는 모두 집결하여 적과 대립을 했다. 各 : 각각 각個 : 낱 개擊 : 칠 격破 : 뜨릴 파 이를 보고 각개격파라는 사자성어를 활용할 수 … 더 보기
인생을 살면서 나이가 들수록, 사회생활을 하면서 대인 관계도 중요하지만 가족이 더 소중한 내 편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일들이 많다. 실제로 부모님과 형제자매의 몸이 건강하고 일이 잘 풀리면 나도 그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정이 화목한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家 : 집 가和 : 화할 화萬 : 일만 만事 : 일 사成 : 이룰 성 예로부터 가정이 … 더 보기
오랜만에 산책을 하면서 예쁜 꽃들을 보고 사진을 찍었는데 다음날 다시 갔더니 이미 시들어서 초라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런 걸까? 일부 사람들은 미인을 꽃에 비유해서 병약하기 때문에 요절하는 일이 많거나 불행한 인생을 살아간다는 생각을 했다. 佳 : 아름다울 가人 : 사람 인薄 : 엷을 박命 : 목숨 명 외모가 아름다운 사람은 인생이 박해서 얻는 것들이 … 더 보기
국회의원 선거를 보면 투표 비율이 비슷한 경우가 있는데 참여하는 사람이 많다 보니 동률이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 적은 규모의 선거를 하면 찬성과 반대가 같은 동률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보고 사자성어로 표현이 가능하다. 可 : 옳을 가否 : 아닐 부同 : 한가지 동數 : 셈 수 가부동수는 표결에서 찬성과 반대의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