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광양회(韜光養晦) – 재능을 드러내지 않고 기다림

왕이 존재하던 시절에는 머리가 좋고 능력 있어도 재능을 감춰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꽃이 피기 전에 지는 일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달성하기 전까지 자신을 위협으로 지키기 위해 바보 행세를 하면서 반전을 꿈꾸기도 했다. 韜 : 감출 도光 : 빛 광養 : 기를 양晦 : 그믐 회 도광양회는 자신의 실력을 감춘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기회를 … 더 보기

대명천지(大明天地) – 어둠 없이 환하게 밝은 세상

밝은 대낮에 우주에서 한국을 보면 북한과 남한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지만 밤이 되면 북한은 어둡고 남한은 빛나는 곳들이 많다. 한국은 전체적으로 밝지만 북한은 저소득 국가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평양 중심만 밝게 빛나고 나머지는 암전 된 모습이다. 大 : 큰 대明 : 밝을 명天 : 하늘 천地 : 땅 지 대명천지는 세상천지가 밝게 빛난다는 뜻으로 더럽거나 어두운 … 더 보기

대동소이(大同小異) 뜻과 유래 – 크게 보면 같고 작은 차이만 있다.

어린 시절에 누나와 간식을 나눌 때면 사이좋게 먹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서로의 것이 더 크다며 싸우는 일이 많았다. 성인이 되고 옛날 생각을 하면 웃음이 나오는데 지금도 가끔은 차이가 없는 수준이지만 비교를 하는 경우가 있다. 大 : 큰 대同 : 같을 동小 : 작을 소異 : 다를 이 대동소이는 크게 본다면 같은 수준으로, 작은 차이만 있다는 … 더 보기

대기만성(大器晩成) 뜻과 예문 – 큰 인물이 되려면 오래 걸린다.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알아듣는 사람이 있는 반면 배우는 게 느려서 답답한 경우도 있는데 나중에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시작은 미약하지만 끝은 창대하다는 말처럼 큰일을 하려는 분들은 초반에 힘든 과정과 역경을 버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大 : 큰 대器 : 그릇 기晩 : 늦을 만成 : 이룰 성 대기만성은 큰 그릇은 만드는 데 오래 걸린다는 말로 … 더 보기

당연지사(當然之事) 뜻과 유래 – 마땅히 해야 하는 일

어린 시절에는 무언가 조금만 잘해도 주변 사람에게 칭찬을 듣지만 나이가 들수록 웬만한 일이 아니면 칭찬을 듣기가 어려워진다. 아기들이 말하고 걸음마를 하는 모습은 장하고 대견스럽지만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서 기준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當 : 마땅 당然 : 그럴 연之 : 갈 지事 : 일 사 당연지사는 상황을 봤을 때 마땅히 가야 하는 길을 뜻하며 … 더 보기

당랑거철(螳螂拒轍) – 사마귀가 바퀴 달린 수레를 막는다.

우리 주변에는 자신의 능력을 과도하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가끔은 자신보다 힘이 센 사람에게 덤비는 무모함을 보여주기도 한다. 반대로 자신보다 강한 사람에게 고개를 숙이지 않고 대항하는 사람들은 무모함보다는 용맹스럽다는 말이 어울릴지도 모른다. 螳 : 사마귀 당螂 : 사마귀 랑拒 : 막을 거轍 : 바퀴자국 철 당랑거철은 사마귀가 수레를 막는다는 뜻으로 자신보다 힘이 센 사람에게 덤비는 무모함, … 더 보기

단사표음(簞食瓢飮) – 욕심을 부리지 않고 덕을 쌓는다.

남들보다 아는 게 많고 우위에 있으면 욕심에 눈이 멀게 되는데 가끔은 청렴 결백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람들도 있다. 과거에는 능력은 있지만 욕심을 부리지 않고 가난한 선비들을 다양한 사자성어로 비유하면서 존중을 표현했다고 한다. 簞 : 소쿠리 단食 : 밥 식瓢 : 바가지 표飮 : 마실 음 단사표음은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밥을 먹고 바가지에 들어있는 물을 마신다는 뜻으로 … 더 보기

단도직입(單刀直入) 뜻과 유래 –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다

무언가 설명을 할 때, 처음부터 끝까지 말해주길 원하는 경우도 있지만 서론을 제외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는 게 좋은 경우도 있다. 시간이 부족해서 빠르게 요점만 캐치 할 필요가 있으면 꼭 필요하고 핵심적인 내용만 추려서 전달하는 능력을 배워야 한다. 單 : 홑 단刀 : 칼 도直 : 곧을 직入 : 들 입 단도직입은 혼자서 칼을 들고 적진으로 향한다는 … 더 보기

단금지계, 단금지교(斷金之交) – 우정을 뜻하는 사자성어

어린 시절부터 친하게 지낸 친구를 짧은 단어로 표현하고 싶다면 사자성어를 쓰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가깝기 때문에 믿을 수 있는 사람, 오래되었지만 불편한 관계, 불편해서 거리를 두고 싶은 것처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斷 : 끊을 단金 : 쇠 금之 : 갈 지交 : 사귈 교 단금지교는 쇠도 자를 수 있을 정도로 깊고 … 더 보기